가사 소송을 잘하는 법률사무소 연재 입니다

남편 가출로 별거중일 때 이혼하는 방법 상담 - 남편하고 연락이 안되고 어디 사는지 몰라 협의이혼을 못할때 이혼소송 이혼소장접수 상담 본문

이혼소송(이야기)

남편 가출로 별거중일 때 이혼하는 방법 상담 - 남편하고 연락이 안되고 어디 사는지 몰라 협의이혼을 못할때 이혼소송 이혼소장접수 상담

실장 변동현 2023. 7. 31. 10:42
320x100

남편 가출로 별거중일 때 이혼하는 방법 상담 - 남편하고 연락이 안되고 어디 사는지 몰라 협의이혼을 못할때 이혼소송 이혼소장접수 상담 [무료상담전화(문자) 010-3711-0745]

 

배우자의 가출로 별거 중인 부부가 많은 것 같네요

그중에는 남편이 가출한 경우가 많고요

반대로 아내가 집을 나온 경우도 있고요

사정에 따라서 별거를 하게 되니까요

 

그런데 별거를 오래 하다 보면 언젠가는 이혼을 하게 된다고 하네요

이혼을 해야 할 사정이 생기거든요

서류상에만 부부로 되어 있어서 더 이상 부부라고 할 수 없고요

부부로 되어 있어서 불이익을 당하기도 하고요

불필요한 존재가 되고요

 

그러다 보니 때가 되면 이혼을 해야 하는데 쉽지 않답니다

서로 연락이 안되거나 어디 사는지 모르면 합의이혼을 할 수 없거든요

부부가 별거를 오래 하면 그렇게 되고요

그랬을 때 이혼을 하려면 어쩔 수 없이 재판이혼을 해야 하고요

그래서 이혼을 하고 싶은 쪽에서 이혼소송을 하게 되는 것이죠

이번에 이혼을 하려는 분도 이런 상황인 것 같네요

남편이 가출한지 10년이 넘었답니다

집을 나가기 전부터 여자하고 돈 때문에 문제가 많았고요

그러지 말라고 일로 한마디 하면 잔소리한다고 폭력까지 했고요

그러더니 신고를 했다고 나갔으니까요

 

그래서인지 집을 나간 뒤로 연락을 피하다가 안되었답니다

바람피운 여자하고 동거를 하는지 차단을 했거든요

그러다 보니 나중에는 연락하는 것을 포기했고요

 

이런 사정으로 남편하고 연락이 안 되어 별거를 하게 되면서 이사를 여러 번 했다고 하네요

남편이 집 나갈 때 살던 집은 월세였고 보증금이 모두 공제되어서 이사를 해야 했고요

친정식구들에게 돈을 빌리고 대출을 받아 살집을 마련했고요

그 빚을 몇 년에 걸쳐 혼자 갚다 보니 그동안 고생을 많이 했고요

 

그래서 이제는 서류상에만 부부로 되어 있는 남편하고 이혼을 하고 싶답니다

별거한지 너무 오래되어서 남편 얼굴도 기억이 안 나고요

정이 떨어졌고 다시 함께 살 수도 없고 그럴 생각도 없고요

서류상에 남편이 있어서 여러 가지 지원도 못 받고 신청도 못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다 보니 있으나 마나 한 남편하고 이혼을 하고 더 이상 신경 쓰지 않고 마음 편하게 살려는 것이죠

아내와 상담을 해보니 그동안 고생을 많이 하신 것 같네요

무책임한 남편 때문에 혼자 힘들게 살면서도 열심히 사신 것 같고요

그렇지만 이제는 조금 안정이 된 것 같고요

그렇다면 서류상에만 존재하는 남편하고 정리를 해야 할 것 같고요

앞으로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그전에 정리를 하는 것이 좋으니까요

 

그런데 남편하고 연락이 안되고 어디 사는지 실제 거주지를 몰라서 이혼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 같네요

아내가 발급받아본 남편의 주민등록초본상 주소는 몇 년 전에 말소되었거든요

어디서 무엇을 하고 사는지 주소지에 안 살고 있어서 무단전출 직권 말소되었으니까요

 

이럴 때는 협의이혼은 어렵고 재판이혼을 해야 하죠

이혼소장을 접수하고 판결을 받아야 하고요

남편하고 연락이 안되거나 어디 사는지 몰라도 가능하거든요

 

그래서 이혼소장부터 접수하면 될 것 같네요

소장에는 이혼하고 위자료는 청구할 수 있고요

위자료는 원하지 않으면 이혼 하나만 청구해도 되고요

청구 이유는 남편의 가출로 인하여 별거를 오래 하고 있는 것을 기재하고요

별거를 오래 하여 더 이상 혼인관계를 유지하기 힘들어 혼인 파탄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을 기재하고요

증거는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는 자식의 확인서나 진술서를 첨부하고요

서류는 아내(원고)하고 남편(피고)의 각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주민등록초본을 첨부하고요

이렇게 이혼소장을 잘 써서 제출하면 법원에서 남편(피고) 주소지로 소장 부본을 발송할 겁니다

주소가 말소되어 있어도 한번은 송달을 해야 하거든요

그래서 소장이 수취인 불명으로 반송이 될 것이고요

이때는 보정명령을 받아 시댁 식구들의 주소를 알 수 있는 초본을 발급받아 송달 신청을 해야 하고요

그러면 법원에서 주소지로 가사 확인조사를 송달하고요

 

만약에 시댁 식구들이 남편과 연락을 하거나 어디 사는지 알면 소장을 전달해 줄 수도 있죠

아니면 법원에서 이혼소장이 왔다고 연락을 해줄 수도 있고요

그러면 남편이 알게 될 것이고 할 말이 있으면 답변서를 제출할 수도 있고요

아니면 마음대로 하라고 가만히 있을 수도 있고요

 

그런데 아내는 남편이 시댁 식구들하고 연락을 할 가능성은 적다고 하네요

남편이 시댁 식구들하고 연락을 하면서 살았던 성격이 아니거든요

그리고 남편이 가출했을 때 연락을 해봤지만 모른다고 했었고요

그 뒤로도 몇 번 연락을 해봤지만 모른다고 화를 낸 적이 있었으니까요

 

그렇다면 시댁 식구들에게 소장을 보내봐도 송달이 안될 것 같네요

법원에서 보낸 가사 확인조사를 받아도 가만히 있을 것이고요

그렇게 되면 남편에게 송달할 방법은 없고요

이럴 때는 공시송달 신청을 해야 합니다

남편의 주민등록이 말소되어 있고 시댁 식구들에게 확인을 해봐도 송달을 할 수 없거든요

이러한 사정을 잘 써서 제출하면 판사님이 판단해서 공시송달 명령을 해줄 수 있고요

통상적인 방법으로 송달을 할 수 없을 때는 공시로 송달해야 하니까요

 

그래서 송시 송달 명령을 받으면 재판을 진행해서 판결을 받을 수 있죠

이혼소장을 게시판에 일정 기간 공시를 하면 송달로 간주되고요

변론 기일이 지정되면 소환장도 공시로 송달하고요

판사님이 재판을 한 번하고 종결한 후 선고 일자를 지정한 후에도 통지서를 공시로 송달하고요

선고하는 날 판결을 하고 판결문도 공시로 송달하고요

판결문이 송달되고 2주 후에 확정이 되면 증명원을 발급받아 이혼신고를 하면 되고요

 

이렇게 판결을 받으면 소송 기간도 오래 걸리지 않고 빨리 끝날 수 있답니다

판결을 받기까지 최소한 몇 달이면 충분하고요

그래서 이혼소장을 접수하고 남편에게 송달을 시켜보면 어떻게 진행될지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만약에 남편에게 이혼소장이 송달되어도 결과는 달라지는 건 없죠

소송 기간만 조금 더 걸릴 뿐이고요

남편이 소장을 받고 이혼을 못한다고 하지는 않을 테니까요

그러면 답변서를 제출할 기간을 기다렸다고 재판을 한 번하고 판결을 받으면 되고요

이혼을 못한다고 하더라도 재판상 이혼 사유가 충분하기 때문에 이혼 판결을 받을 수 있거든요

 

그래서 이혼소송을 하면 어떻게든 판결을 받아 이혼을 할 수 있답니다

소송 기간이 얼마나 걸리는지가 문제일 뿐이고요

그렇기 때문에 이쯤에서 이혼을 하고 마음 편하게 살았으면 좋겠네요

어차피 이혼을 할 거면 빨리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니까요

저희가 가출 별거 이혼상담이나 이혼소송을 해보면 이런 사례가 정말 많은 것 같네요

남편이나 아내가 가출해서 별거를 오래 하고 있는 분들이 많거든요

가출한 후 연락을 피하거나 끊으면 별거를 오래 하게 되고요

별거를 오래 하다 보면 이혼을 하게 되고요

그렇지만 협의이혼을 못하면 재판이혼을 해야 하고요

재판이혼을 하려면 소송을 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혼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준비를 하거나 소송을 해야 합니다

이혼소송 경험이 많은 저희가 자세한 상담을 통하여 도움을 드리거든요

이혼상담부터 준비할 서류도 알려주고요

이혼소송 방법부터 진행 절차도 알려주고요

이혼소장을 접수하고 송달시키고 재판해서 판결을 받아서 드리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이혼을 해야 할 때는 언제든지 상담을 받아보고 소송을 하시기 바랍니다

어차피 할 거면 미루지 말고 하는 것이 좋고요

이번에 이혼을 하려는 분(아내)도 소장부터 접수해야 할 것 같네요

이혼소장을 접수하고 송달을 시키고요

송달을 해보고 안되면 공시송달 신청을 하고요

공시송달 명령을 받으면 진행이 빨리 되고 판결을 받을 수 있거든요

남편에게 이혼소장이 송달되어도 재판해서 판결을 받을 수 있고요

남편이 이혼을 못한다고 해도 이혼 판결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그때까지만 기다리면 다 잘 될 겁니다

[무료상담전화(문자) 010-3711-074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