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혼무료상담전화
- 이혼상담
- 재산분할
- 남편이 이혼을 안해주면
- 양육권
- 가출이혼
- 소송
- 이혼소송
- 무료법률상담
- 친권
- 가출이혼소송
- 무료이혼상담
- 이혼무료상담
- 이혼소송 무료상담전화
- 남편이 협의이혼을 안해주면
- 별거이혼
- 남편
- 가정폭력
- 무료상담
- 이혼소송무료상담전화
- 이혼
- 남편에게 이혼소장 송달
- 위자료
- 이혼소송 대응 상담
- 이혼소장 접수 송달
- 별거이혼소송
- 무료법률상담센터
- 양육비
- 남편이이혼을안해주면
- 이혼 합의조정
- Today
- Total
가사 소송을 잘하는 법률사무소 연재 입니다
아내가 이혼을 안 해준다고 소송을 하여 이혼을 원치 않는 남편이 이혼소장을 받고 답변서 제출 대응 상담 본문
아내가 이혼을 안 해준다고 소송을 하여 이혼을 원치 않는 남편이 이혼소장을 받고 답변서 제출 대응 상담 [무료상담전화(문자) 010-3711-0745]
배우자에게 이혼소송을 당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혼을 해야 할 이유도 없고 이혼을 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거든요
그런데도 배우자가 이혼을 안 해준다고 이혼소장을 접수할 때가 있고요
이럴 때는 힘든 결정을 해야 한답니다
혼을 못한다고 할 것인지 이혼을 하자고 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 하니까요
그런 다음에 대응을 해야 하고요
이번에 이혼소장을 받은 남편도 이런 상황인 것 같네요
이혼을 요구하던 아내가 이혼소송을 했거든요
부부 싸움을 할 때마다 이혼을 하자고 했지만 안 해주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따지고 보면 아내가 유책 배우자라고 하네요
육아나 살림을 거의 안 하거든요
집안 청소도 안 하고 음식도 안 하고요
맞벌이를 한다는 핑계로 안 했고요
그러다 보니 남편이 모두 했답니다
아이를 목욕시키고 청소하고 쓰레기를 버리고요
치우고 치워도 아내가 계속 더럽게 했고요
그래도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 참고 살았죠
그러다가 한마디 하면 잔소리한다고 싸우게 되더랍니다
그럴 때마다 아내는 이혼을 하자고 하고요
자기는 자기 하고 싶은 대로 살고 싶다고 하고요
이렇게 몇 년을 살다 보니 나중에는 남편이 포기를 했다고 하네요
아내에게 좋게 말을 해봐도 소용이 없고 싸우려고만 했기 때문이죠
그래서 아내에게 바라지도 않고 묵묵히 할 일을 하면서 살았고요
아이를 돌보고 청소하고 음식까지 하면서요
그런데 갑자기 아내가 이혼을 안 해주면 소송을 한다고 하더랍니다
그래서 홧김에 마음대로 하라고 했고요
그랬더니 정말로 이혼소송을 한 것이죠
남편은 이혼소장을 받으니 화가 나기보다는 황당하답니다
소장 내용도 모두 거짓말이고 증거는 하나도 없고요
말도 안 되게 잔소리가 심하고 폭언을 하고 때려서 이혼을 하려고 쓰여있거든요
그러면서 재산의 절반을 달라고 청구했고요
이런 소장을 받고 아내에게 어떻게 된 것이냐고 물으니 말을 안 한답니다
할 말이 있으면 법원에 써서 내라고 하고요
자기변호사에게 말하라고 하고요
이렇게 나오다 보니 더 이상 대화가 안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좋게 해보려고 해도 안되고요
아내가 소송을 취하할 것 같지 않거든요
남편과 상담을 해보니 아내를 설득해 보려고 하지만 잘 안되는 것 같네요
아내가 남편을 떠보려고 이혼소송을 한 것 같지도 않고요
대화는 거부하고 있는 같고요
이럴 때는 아내를 계속 자극하면 안 된답니다
아내를 무리하게 압박하면 안 되거든요
그래서 시간을 두고 시도해 봐야 하거든요
그렇다고 답변서를 안 낼 수는 없죠
가만히 있으면 인정하는 것으로 오해를 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제출 기간이 지나면 기일이 지정될 수 있고요
그러면 마음이 더 불안해지고 급해지기 때문에 준비를 해야 한답니다
그래서 답변서를 제출하되 좋은 쪽으로 써서 내야 할 것 같네요
아내를 흠잡기보다는 좋게 해자는 식으로 써야 하고요
아이를 위해서라도 가정을 지켜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요
그래야 아내가 답변서를 받아보고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으니까요
그러면 조정에 회부되고 기일이 지정될 수 있죠
이때도 아내를 잘 설득해 보고요
그래서 서로 좋게 합의가 되면 좋고요
아내가 이혼을 안 하는 조건을 제시할 수 있거든요
그러면 그렇게 해주고요
예를 들어서 아내가 집 소유권을 넘겨 달라고 할 수도 있답니다
육아나 집안일을 요구하지 말라고 할 수도 있고요
그 외에 다른 것을 요구할 수도 있고요
이러한 합의 조건을 제시할 때 생각을 해봐야 하죠
아내가 원하는 대로 해줄 것인지요
아내는 이혼을 안 하는 조건으로 얼마든지 제시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남편이 아내가 원하는 대로 해주면 조정으로 끝나고요
너무 무리한 조건이라서 받아들이기 힘들 때는 어쩔 수 없고요
그러면 합의 조정을 할 수 없어서 계속 재판을 하고 판결로 가야 하고요
그렇기 때문에 우선 답변서를 준비해서 제출한 다음에 아내가 어떻게 나오는지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답변서를 제출하면 아내도 생각을 해볼 수 있거든요
만약에 아내의 생각이 바뀌면 대화도 가능하고 합의점도 찾아볼 수 있고요
그러다가 소송을 취하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조정 기일이 지정되면 합의도 한번 해보고요
이렇게 남편이 이혼을 원치 않을 때는 아내의 눈치를 살펴야 한답니다
다른 이혼소송처럼 적극적인 대응이 어렵거든요
그러다 보면 소송이 끝 날까지 힘든 시간이 될 수 있고요
제대로 된 공격보다는 방어에 치중해야 하니까요
그래도 할 수 있는 데까지는 해봐야 하죠
합의 조정이 안되어 면접 가사조사를 하게 되어도 가능하면 좋게 진술을 해야 하고요
아내가 집요하게 공격을 해도 똑같이 공격하기보다는 조금 느슨하게 해야 하고요
이혼할 이유가 없다 것과 혼인관계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많이 한 점을 부각시키고요
아내의 잘못을 지적하게 되더라도 남편이 잘 안 일을 좀 더 주장하고요
이렇게 주장이나 반박을 하더라도 적절하게 잘해야 한답니다
이혼을 원치 않을 때는 아내의 재산조회 등을 하지 않아야 하고요
아내는 이혼을 하려고 남편의 재산조회를 할 테니까요
함께 재산조회를 하면 이혼을 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오해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
이렇게 변론을 해보면 아내가 이혼 판결을 받는다는 보장이 어려울 것 같네요
아내가 이혼을 하려면 남편에게 잘못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입증이 되어야 하거든요
그런데 굳이 따지자면 아내가 잘한 것은 없고 잘못한 것이 많고요
한마디로 유책 배우자인 아내가 이혼소송을 했다고 봐야 하고요
그래서 아내는 아니면 말고 식으로 거짓이나 억지 주장을 할 수 있죠
그래도 적적하게 대응하면서 변론을 할 필요가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끝까지 최선을 다해서 이혼청구 기각 판결을 받아야 한답니다
실제 이혼소송을 해보면 기각이 되는 사례가 많죠
이혼을 안 해준다고 소송부터 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소장에는 말도 안 되는 내용을 써서 내고 증거는 하나도 없고요
마치 이래도 안 해줄 거야 하는 식으로 소송을 할 때가 있으니까요
이번에 이혼소장을 받은 남편도 비슷한 것 같네요
아내가 이혼소송을 했지만 유책 배우자는 아내이거든요
육아도 안 하고 살림도 안 하고요
그러다 보니 남편이 모두 하고 있고요
그런데도 남편은 이혼을 원치 않는답니다
그래서 어떻게든 아내를 설득해 보고 싶고요
그렇다면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봐야 할 것 같네요
남편이 불리한 것은 없으니까요
저희가 이혼상담이나 소송을 해보면 이런 사례가 의외로 많답니다
이혼을 안 해준다고 소송을 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러다 보니 소장을 받으면 답답하게 되고요
그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방법을 찾아야 하죠
이혼소송 경험이 많은 곳에 물어보면 자세하게 알려주니까요
대응방법부터 진행 절차까지 모두 알려주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이혼소장을 받으면 상담을 받아보고 준비해야 한답니다
이번에 이혼소장을 받은 남편도 아내를 잘 설득해 봐야 할 것 같네요
그러면서 답변서를 준비해서 제출하고요
아내가 소 취하를 하지 않으면 계속 가만히 있을 수 없기 때문이죠
앞으로 합의도 해봐야 하니까요
그래도 안되면 이혼청구 기각 판결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변론을 해야 하고요
남편이 잘못한 것이 없고 불리한 것도 없어서 충분히 해볼만 하거든요
[무료상담전화(문자) 010-3711-0745]